중앙대학교 안전관리정보센터

안전의 작은 실천, 중앙人이 앞장선다
일반자료실

현재위치

> 자료실 > 일반자료실

일반자료실 내용 시작

제목[연구실 안전] 연구실내 배터리 취급관리 매뉴얼
글쓴이관리자
등록일2020-02-11
조회수2,445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학기술안전기반팀-343(2020.02.10.) '연구실 내 배터리 취급관리 매뉴얼 배포"

와 관련  연구개발활동중 배터리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개인보호장구를 착용하시고

첨부의 매뉴얼을 참조하시어 안전하게 연구활동이 될수 있도록 매뉴얼 숙지 부탁드립니다.

 

1. 연구개발활동 중 배터리를 취급할 경우에는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해야 하고, 배터리 근처에 B급 소화기(유류/가스화재)를 비치하여야 한다.

- 특히, 실링 처리되지 않은 납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는 보안경, 보호장갑(고무장갑), 그리고 고무 처리된 앞치마 또는 보호복을 착용해야 한다.

2. 배터리 내부 전해질의 경우, 독성을 띄는 물질이 있으므로 접촉에 대비하여 세안기 및 비상샤워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3. 밀폐형 배터리를 취급·보관·연구하는 연구실의 경우 충분한 환기가 필요하다. 환기량은 배터리의 크기, 형태, 온도, 충전전류에 의해 결정된다.

4. 밀폐된 공간의 배터리와 근접한 위치에는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는 부품(릴레이, 스위치 등)을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5. 퓨즈나 차단기와 같은 보호장치는 가능한 배터리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여야 하고, 과전류 서지*(Surge)를 견딜 수 있는 충분한 배선을 사용해야 한다.

* 전기회로에서 전류나 전압이 순간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충격성이 높은 펄스

6. 배터리 충전 시험 시, 과충전에 의해 전해액이 폭발하여 가스가 누출될 수 있으므로 충분한 환기와 함께 가연성가스의 발생을 막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7. 배터리를 충전하는 영역 근처에는 점화원이 없어야 하며, 가연물은 충전영역으로부터 1 m 이상 이격시켜야 한다.

8. 배터리 충전시험 전·후에는 전해질의 상태를 항상 점검하여 안전한 수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9. 배터리 균열에 의해 전해질 또는 겔이 방출되는 것에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10. 나일론 재질의 옷은 정전기 및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입지 말아야 하며, 배터리 단자에 접촉될 수 있는 금속(반지, 목걸이 등)은 착용하지 않아야 한다.

목록

일반자료실 내용 끝

저작권 표시 및 연락처

서울캠퍼스  156-756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4   TEL  02-820-6088  / 다빈치캠퍼스  456-756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내리 72-1   TEL  031-670-4960 이메일무단수집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페이지 로딩 이미지 표시

Loading...

처리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