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안전관리 수칙(유형별 안전관리 수칙)
연구실 유형 |
안전관리수칙 |
공통 준수사항 |
연구실 안전수칙을 준수한다. 실험 전 매일 일상점검을 실시한다. 연구실 퇴실 전‧후에 연구실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구급약품을 비치한다. 연구실 책임자는 실험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하여 사전교육을 실시한다. 위험발생 요소가 있는 실험을 실시할 경우 적정한 보호구를 착용한다. 모든 실험은 실험복 착용을 원칙으로 한다. 실험구역에서 음식섭취, 식품보관, 흡연, 화장 등의 행위를 하지 않는다. 지정된 장소에서만 실험을 수행한다. 출입구 및 배전반 앞에 장애물 설치 및 적재를 금지한다. 연구실 통로는 통행에 방해되는 장애물이 없도록 한다.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물을 사용하는 실험기자재는 주변의 콘센트를 방수형으로 한다. 환기팬에 분진을 정기적으로 청소한다. 전기차단기는 먼지‧습기로 인한 전기사고위험이 있으므로 별도 박스내부에 설치하도록 한다. 전선, 콘센트, 차단기는 사용 전기제품 용량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고압가스 방출에 따른 상해 위험이 있으므로 가스용기 전도방지장치를 한다. 퇴실 전후 가스밸브의 개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다. 가스라인은 주 1회 이상 누출시험을 실시한다. 배관의 재질 및 두께는 가스의 압력 및 유량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 배관의 파손을 방지한다. 가스배관에 가스의 종류 및 흐름방향을 명확히 표시 가연성 가스배관 이음부는 전기 불꽃에 의한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콘센트와 최소 30cm이상 떨어지게 조치한다. 가스용기는 전도방지 장치와 밸브보호캡을 씌워 보관토록 하며, 옥외의 가스용기는 눈, 비,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한다. 가스용기 충전기한 경과 시 용기 내 압력의 현격한 저하로 밸브 이탈 및 용기 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충전기한을 반드시 확인한다. 가연성‧조연성‧독성 가스용기는 각각 분리 보관하고 충전 용기와 빈 용기도 분리‧보관하여 부주의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가연성 및 독성가스를 사용하는 실험실은 가스누설경보장치를 설치하고 관리를 한다. |
화학/화공 연구실 |
화학약품을 이용한 실험은 흄후드 안에서 실시하고, 매월 1회 이상 후드의 작동상태를 점검한다. 실험실내 환기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한다. 화학약품은 성상별(금수성, 부식성, 독성 등)로 분류하여 약품전용 시약장에 보관한다. 시약병의 파손에 의한 상해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시약보관대에 가이드바를 설치한다. 유독성 약품은 별도의 보관함에 잠금장치를 하여 보관한다. 폐액은 종류별로 보관하고, 용기에 라벨을 부착한다. 직접 조제한 시약별에는 제조일자, 제조자성명, 약품명, 주의사항 등을 기록· 부착하고 완전히 밀봉하여 보관한다. 화학약품에 대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하고 특성 및 주의사항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다. |
기계/물리 연구실 |
전처리시설의 설치 시 실험공간과 연구용 공간을 별도로 구획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각종 기계‧기구에는 사용 시 주의사항 및 안전수칙 등을 부착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한다. 레이저 광선을 사용하는 실험에는 레이저 차광용 보안경을 착용하고, 레이저 장치는 반사하는 벽이 없어야 한다. 전처리 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는 환기설비, 폭발에 대비한 방호벽 등의 안전설비를 설치한다. 온도계, 압력계, 레벨 표시계 등 계측기가 부착되어있는 기기는 계측기의 값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관리한다. 고온‧저온의 작업 시 안팎으로 뜨겁거나 차갑기 때문에 방열복, 내열장갑, 안전집게, 보안경, 보안면 등 보호구를 착용하여야 한다. 화기사용 및 유해물질을 이용한 실험은 반드시 2명 이상이어야 한다. 전처리시설에서 상호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유기성 및 무기성물질을 별도로 구분하여 설치하고, 각 전처리시설별로 환기시설을 설치한다. 각종 위험기계‧기구는 명판 및 안전표지등을 부착하고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작업 중 날의 깨짐, 볼트 이완에 따른 파편 및 부품 비산으로 실습자가 다칠 우려가 있으므로 공구날 접촉부와 볼트 조임부를 수시로 점검한다. 각종 위험기계‧기구는 안전수칙을 부착하여 표준실습방법에 따라 취급하도록 한다. 고온 및 화상발생 시 응급조치 요령 등의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벨트 회전부위에 옷, 손가락 끼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덮개를 부착한다. 밀링, 선반, 드릴 등을 이용한 금속가공 시 칩비산 방지망을 설치하고 띠톱, 둥근톱기계에는 날 접촉예방장치 등을 설치한다. 산소-아세틸렌 용접기는 산소가 아세틸렌 용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세틸렌용기부에 역화방지장치를 설치한다. 교류아크용접기는 자동전격방지장치를 검정합격품으로 설치한다. 용접실습 전에는 용접기 홀더 손잡이의 접속상태 및 절연상태 등을 점검한다. 기계 내 이물질 제거 및 정비작업을 하는 경우 전원을 차단한 후 실시하도록 교육한다. 용접 작업 시 개인 보호장비(방염장갑, 앞치마, 팔덮개, 헬멧, 보안경 등)를 착용 후 실시한다. |
의학/생물 연구실 |
연구실의 출입문은 닫아두며, 허가받지 않은 사람이 임의로 연구실에 출입하지 않도록 한다. 연구실에는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생물안전등급 표시를 출입문에 부착하고, 병원성 미생물을 취급하고 보존하는 장소(연구실, 냉장고, 냉동고등)에는 ‘생물재해’ 표시를 붙이도록 한다. 연구활동종사자에게 생물 및 동물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정기적으로 교육하고, LMO연구시설의 경우 연1회 이상 점검을 실시한다. 동물사육실의 필수적인 설비인 환기장치, 온도조절장치, 수세설비, 안전전원장치 등이 정상으로 작동되도록 유지 관리한다. 실험생물 주의사항 및 관리절차요령을 정확히 숙지 후 실험한다. 연구실의 출입과 실험 전 생물안전 작업요령 및 생물안전 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 등에 관한 사항을 숙지하며, 해당 자료를 연구실에 비치한다. 실험 종료 후 실험대를 소독하고, 실험 중 오염이 된 경우 전염 예방을 위해 즉시 소독한다. - 모든 동물의 배설물, 폐기물, 사체 등은 처리 전에 살균하고 큰 동물, 방사선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지역 보건기관의 조언과 협조를 구하여 처리한다. 감염성 폐기물과 일반 폐기물은 구분하여 관리하고, 감염성 폐기물의 용기뚜껑은 항시 덮어 놓아 실내오염을 방지한다. 미생물의 전이 및 오염 위험이 있으므로 실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식당이나 휴게소 등 공동시설 이용을 금지한다. |
전기/전자 연구실 |
모든 전기‧전자기기는 사용 중지 시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고압 회로를 다룰 경우에는 절연장갑 및 보안경을 반드시 착용한다. 과열 우려가 있는 전기‧전자기기에는 자동온도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젖은 손으로 전기‧전자기기를 조작하거나 전기가 통하는 부위에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금속제 외함을 갖는 실험장비는 외함 접지상태를 확인한다. 모든 전기‧전자기기는 규격에 맞는 전선을 사용하도록 한다. 전기로나 건조장치의 발열부 주위에 가연성 물질의 방치를 금지한다. 전기 소모량이 많은 전기‧전자기기의 경우 문어발식 콘센트 접속을 금한다. 물기‧습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전기‧전자기기 사용을 제한하거나 방습 조치 후 사용하도록 한다. 분전반의 누전차단기는 정상 작동되는지 월 1회 이상 점검한다. |
건축/환경 연구실 |
각종 공기구 및 실습용 자재는 별도의 장소에 잘 보관하고 스티로폼, 목재 등의 가연물은 화재발생 방지 조치를 한 뒤 잘 정리하여 보관한다. 높은 곳에서의 작업 시 물건(스패너, 니퍼 등)의 낙하에 주의한다. 크레인(건설장비 등) 조작은 자격이 있는 사람이 조작하도록 한다. 실험실 내 조명은 건축조형물 작업 및 제도작업등에 용이하도록 300Lux 이상으로 한다. 크레인(1년에 1회 이상), 공기압축기(6월에 1회 이상)는 검사원의 자격을 갖춘 자가 검사하도록 한다. 레이저 변위계를 사용할 때는 레이저 광선을 들여다보지 않도록 한다. 실험 또는 작업 중에는 헬멧 착용을 하고 실험동 내에서는 안전화, 보호안경 등을 착용한다. 작업공간과 통로를 충분히 확보하고, 작업공구 사용 시 불량기구 사용을 금지하며 무리한 작업은 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 실험을 종료한 사람은 불, 전기, 가스, 문단속등을 하고, 실험 중 사용한 각종 기기는 원래 위치에 보관한다. |
에너지/자원 연구실 |
씽크대 주변에 설치된 콘센트는 물에 노출되지 않는 방수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누전으로 인한 감전재해를 방지한다. 콘센트는 접지기능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한다. 실습실 내부에는 소화기 배치도를 부착하여 누구나 소화기의 위치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고, 소화기 사용법을 숙지한다. 실 내부에 있는 가스누설감지기와 자동차밸브는 항상 작동되도록 유지관리하고, 파손 여부 및 가스누설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가스용기는 직사광선, 눈 또는 빗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관 유지한다. |
처리중입니다